금강 갑천서 동굴옆새우 신종 발견 ‘세계 최초’

금강 갑천서 동굴옆새우 신종 발견 ‘세계 최초’

특이환경인 지하수 혼합대 생물 다양성 연구 추진

새롭게 발견된 동굴옆새우(Pseudocrangonyx daejeonensis) (사진=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제공)

 

국내에 단 2종만 보고됐던 ‘동굴옆새우’의 신종이 금강 갑천에서 세계 최초로 발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인하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담수동물자원발굴 및 표본확보 사업’을 추진해 금강 지류인 대전시 서구 흑석동 갑천의 지하수 혼합대에서 신종 동굴옆새우(Pseudocrangonyx daejeonensis)를 새롭게 발견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50여 년 만에 새롭게 발견된 종의 이름을 대전의 지명을 따라 ‘슈도크란고닉스 대전엔시스’로 명명했으며, 국제공인학술지인 ‘ZooKeys’에 발표해 연구결과를 인정받았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동식물자원조사부 서경인 부장은 “이번에 발견된 종은 우리나라에서 신종으로 발표돼 고유종이 됐다”며 “이는 생물 주권이 우리나라에 있는 것이고, 예를 들어 이 생물에서 중요한 항암물질이 나오면 그 특허권 역시 우리나라 것이 된다”고 설명했다.

전 세계적으로 20여 종이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 제한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동굴옆새우류는 국내에는 지금까지 2종이 보고돼왔다.

하지만 이번 신종 발견으로 국내에 보고된 종은 총 3종으로 늘어났다.

신종이 발견된 장소가 ‘지표수-지하수 혼합대’인 것 역시 의미가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지표수-지하수 혼합대는 지표수와 지하수의 혼합과 교환이 일어나는 하지층을 말한다.

지표수-지하수 혼합대에서 이루어지는 활발한 수문학적, 생지화학적(biogeochemical) 교환은 오염물질의 자연저감 뿐만 아니라, 수량 및 수온 유지와 생물의 서식지 등 중요한 생태학적 기능을 제공한다.

서경인 부장은 “원래 동굴옆새우류는 지하수에서 주로 사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지표수-지하수 혼합대라는 다른 서식지가 발견된 것이 흥미로운 점”이라고 설명했다.

기존에 국내·외에서 보고된 동굴옆새우류 20여 종에 대한 기록은 모두 우물 혹은 동굴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동굴옆새우가 혼합대까지 적응하여 분포하고 있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지하수에 서식하는 생물은 유기물질의 분해를 통해 수질정화에 크게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환경영향평가의 지표종으로 활용되는 중요한 생물이나 아직 관련 정보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서민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신종 발견은 아직 연구가 미흡한 특이서식지에서 새롭게 종이 발견된 의미 있는 결과”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을 체계적으로 밝혀내는 연구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에 신종이 발견된 혼합대를 중심으로 신종 및 미기록종의 발견, 생물다양성 연구 등의 심화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대전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