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 바이오제조 특구 지정

대전시,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 바이오제조 특구 지정

공공 생산 시설, 규제 완화, 글로벌 연계로 전주기 사업화 지원

대덕특구 전경. 대전시 제공대덕특구 전경. 대전시 제공대전시는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 바이오제조 글로벌 혁신특구'로 최종 지정돼 다음 달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고 21일 밝혔다.

전국 최초로 합성생물학을 기반으로 한 특구로 시는 총사업비 272억 원을 확보해 2029년 12월까지 4년 7개월 동안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합성생물학은 생물체의 유전자, 단백질 등 구성요소를 공학적으로 설계·제작하는 기술로 기존 바이오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대량생산 및 고속 제조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시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 대전테크노파크 등 바이오 전문 연구·지원기관과 함께 첨단 바이오제조 전주기 생태계 조성에 나서기로 했다.

생명연은 합성생물학 기반의 바이오파운드리 베타 시설을 활용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LMO(유전자변형생물체) 후보물질의 발굴과 성능 최적화를 지원한다. KAIST는 'mRNA/DNA 기반 생산지원센터'를 활용해 1등급 공공 LMO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기업의 신제품 실증·소량 생산을 지원하게 된다.

대전테크노파크 바이오융합센터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를 성공적으로 운영한 경험을 바탕으로 실증 및 사업화 전 과정의 운영 지원에 참여할 계획이다.

시는 첨단 바이오 제조를 위한 규제 완화, 기업 수요 중심의 연구개발(R&D), 글로벌 진출 트랙 지원을 통해 지역 기업의 지속 성장동력 확보와 세계 시장 진출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시는 특구 운영을 통해 약 1600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를 예상했다.

시 관계자는 "첨단 바이오 제조 기술이 의약품, 식품, 농축산업,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산하며 신규 부가가치 창출과 일자리 창출에도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대전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