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뽕' 탔는지 현장서 바로 확인한다..성범죄 예방 '하이드로겔' 개발

'물뽕' 탔는지 현장서 바로 확인한다..성범죄 예방 '하이드로겔' 개발

평소 노란색 겔이 GHB에 노출되면 약 10초 이내에 빨간색으로
화장품, 여성용품 등에 적용 가능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기술 이전 제품화 추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미세 색 변화 확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미세 색 변화 확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속칭 '물뽕'으로 불리며 성범죄에 많이 사용되는 마약 GHB(감마 하이드록시낙산)를 현장에서 탐지할 수 있는 물질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4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따르면 감염병연구센터 권오석 박사팀과 안전성평가연구소 예측독성연구본부 김우근 박사팀이 GHB에 반응하면 색이 변하는 겔(gel)을 개발했다.

체내 투여 후 15분 이내 몸이 이완되고 환각 증세와 강한 흥분 작용을 동반하면서 성범죄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GHB는 6시간 후면 대부분 신체를 빠져나가는 특성이 있다. 성범죄 사건 직후 소변이나 혈액 시료를 채취하지 않는 이상 검출에 어려움이 있었다.

마약류 검출은 사후적으로 노출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주를 이룬다. 하지만 이마저도 수사기관과 전문기관 등에서 특수 장비를 활용해야 해 일반인 수준에서 접근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헤미시아닌(hemicyanine)이라는 염료를 기반으로 GHB와 반응하면 색이 바뀌는 신규 발색 화합물을 만들고 이를 하이드로겔(hydrogel) 형태로 제작했다.

평소 노란색을 띠는 겔이 GHB에 노출되면 약 10초 이내에 빨간색으로 변하며 맨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민감도 또한 실제 GHB가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1㎍/㎖ 농도까지 반응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한 미량의 GHB로 육안 확인이 어려운 범위의 색 변화의 경우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연구팀은 제브라피시 동물모델을 활용해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이 없는 것을 검증했다. 인체나 화장품, 여성용품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군에 코팅해 적용할 수 있어 확장성과 시장성도 갖췄다.

연구팀은 화장품 기능성 소재 개발기업에 기술을 이전하고 제품화를 추진 중이다.

권오석 박사는 "향후 마약을 악용하는 성범죄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재 약물 검출 시장에서 성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약물 검출 기술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성범죄 예방과 약물 검출을 위한 새로운 진단시장 개척의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대전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