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관측 데이터 전 세계와 공유

한미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관측 데이터 전 세계와 공유

관측 데이터 60일 이내 공개…다양한 과학 연구 가능성 열려

역사상 최초로 102가지 파장으로 우주를 지도화할 스피어엑스 일러스트 이미지. 천문연 제공역사상 최초로 102가지 파장으로 우주를 지도화할 스피어엑스 일러스트 이미지. 천문연 제공한국천문연구원과 나사(NASA) 등이 공동 개발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의 관측 데이터가 아카이브 사이트를 통해 전 세계에 공유된다.

7일 천문연에 따르면 지난 3월 12일 발사된 스피어엑스는 5월부터 본격 관측에 돌입했으며, 지구 극궤도를 98분 주기로 하루 14.5바퀴 공전하며 600회 이상 촬영해 3600여 장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있다.

촬영한 이미지를 디지털 방식으로 합성해 향후 2년 동안 6개월마다 3차원 전천 지도를 제작해나갈 예정이다.

스피어엑스는 우주의 기원, 은하의 형성과 진화, 생명의 구성 요소인 물과 유기분자의 우주얼음 분포와 같은 주요 과학 임무를 목표로 한다.  이번에 관측 데이터 6000여 컷을 전 세계에 우선 공개해 다양한 과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5월 1일부터 1.5주 동안 얻은 이미지다.
 
타란툴라 성운. 천문연 제공타란툴라 성운. 천문연 제공스피어엑스 데이터는 망원경이 각 관측자료를 처음 수집한 후 60일 이내에 순차적으로 공개된다. 데이터는 원본 그대로 공개되지 않고, 스피어엑스 연구팀이 원시 데이터를 처리해 오류나 왜곡을 제거하거나 표기, 검출기 효과 보정, 정확한 천체 좌표로 정렬 등 기본적인 가공 작업을 거친다. 처리된 관측자료와 함께 데이터 처리에 사용한 절차까지 공개해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 측 스피어엑스 총괄 책임자 천문연 정웅섭 책임연구원은 "스피어엑스 데이터 아카이브가 공개돼 우리가 예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다양한 방법으로 전 세계 천문학자들이 천문 연구에 활용할 것"이라며 "스피어엑스는 우주탐사 유산의 일환으로 어떤 새로운 연구결과들이 나올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대전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