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현안과 4대강이 빠진 '타운홀 미팅'

지역 현안과 4대강이 빠진 '타운홀 미팅'

충청권 4개 시·도 "해수부-메가시티- CTX, 지방 정부와 논의 없어 아쉬워'
환경단체 "4대강 사업 관련 정부 정책 방향 듣고 싶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대전에서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주제로 시민들과 대화를 하고 있다. 한국사진기자협회 대전충남지회 제공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대전에서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주제로 시민들과 대화를 하고 있다. 한국사진기자협회 대전충남지회 제공이재명 대통령이 대전을 찾은 자리에서 지역 현안과 4대강 사업 등이 논의 대상에서 오르지 못하면서 충청권 4개 시·도와 환경단체에서 아쉬운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이름으로 타운홀 미팅을 열었다. 소상공인 등의 악성 채무 해소 방안과 과학기술 발전 방향, 지역 현안 등을 놓고 300여 명의 시민들의 의견을 듣고 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현장에 있던 시민들의 의견이 대부분 지방정부와 얽힌 현안이나 개인적인 이해관계 등에 대한 내용이어서 충청권의 굵직한 현안들은 뒤로 밀려났다.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행정수도 완성에 대한 질문이 없다 보니 이 대통령이 직접 이 문제를 꺼내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저는 오늘 여러분들, 오면 해수부를, 왜 부산으로 가냐 이런 이야기 할 줄 알았어요. 그런데 왜 그 얘기는 아무도 안 하시나 모르겠네요"라며, 해수부 부산 이전에 대한 충청권의 이해와 대통령 제2집무실·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계획을 말했다.
 
이 대통령이 "제가 관심 있는 건 충청권 메가시티 사업이 어떻게 되어 가나, 그런 것도 있었는데 지금 공직자들이 다 없다 보니 그런 이야기는 전혀 없는 것 같네요. CTX 사업도 어떻게 돼 가는지 궁금하기도 했고, 충청권에서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거나 관심 갖고 해야할 게 뭔지 이런 걸 알고 싶었는데"라고 말할 정도로 주요 현안에 대한 질문이나 토론은 없었다.
 
충청권 4개 시·도 광역단체장이 참석 대상에 빠지면서 지역 현안을 설명하거나 정부에 도움을 요청할 기회가 없었다.
 
충청권의 한 공무원은 "충청권 광역단체장들이 발언 기회가 있었다면, 대통령의 답변을 통해 정부 정책의 방향을 알 수 있었고, 또, 충청권 4개 시·도민들도 우리 지역의 현안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었을텐데 아쉽다"고 말했다.
 
또 다른 공무원은 "중앙 정부와 국민들 사이에 수많은 지방 정부가 있는데, 대통령이 이런 지방 정부의 행정 체계를 존중하고 활용해주는 차원에서 발언 기회를 주었다면 좋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단체에서도 아쉬움을 나타냈다.
 
환경단체에서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4대강의 재자연화 및 신규댐 계획 폐기' 공약을 실제 정책에 반영해 달라고 촉구하고 있다. 또 환경부 인사가 대통령의 공약 의지를 보여주는 것인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당일 활동가 6명이 시민과의 대화 현장에 참석했지만, 질문 기회를 얻지 못해 환경운동연합의 입장을 전달하지 못했다"며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건 4대강의 재자연화와 관련해 실제 정책에 반영할 것인지, 반영한다면 정책을 실행하는 과정에 어떻게 할 것인지 등을 듣고 싶었다"고 말했다.
 
또 "환경단체가 우려스러워하고 있는 환경부 차관 인사와 관련해서도 입장을 듣고 싶었다"며 "대통령이 퇴장할 때 환경단체의 피켓 내용을 읽으며 대통령실을 통해 민원 전달을 받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대전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