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사칭 피싱 우려…"문자 속 URL 클릭 말아야"

소비쿠폰 사칭 피싱 우려…"문자 속 URL 클릭 말아야"

정부가 오는 21일부터 '민생 회복 소비쿠폰' 신청을 시작하는 가운데, 이를 악용한 스미싱 등 피싱 범죄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여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정부는 지난 5일 15만 원에서 최대 55만 원까지 지급되는 민생 회복 소비쿠폰의 신청·사용 기간 등 지급 방안을 담은 '민생 회복 소비 쿠폰 지급 계획'을 발표했다.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지원금 지급이 예고되면서 이를 사칭한 사이버 범죄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14일 충남경찰청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에도 유사한 방식의 스미싱 피해가 다수 발생했다. 당시에는 "정부 재난지원금 신청 확인하세요", "○○시청입니다. 생활 안정 지원자금 대상 확인 필요합니다", "○○은행입니다. 계좌 인증을 위해 앱 설치가 필요합니다" 등의 문자를 통해 링크 클릭을 유도하고, 피해자 휴대전화에 악성코드를 설치하는 수법이 주로 사용됐다.

이번 소비쿠폰 지급 기간에도 정부나 카드사, 지역화폐 운영기관 등을 사칭해 유사한 문자가 발송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경찰 관계자는 "정부나 카드사 등 공식 기관이 보내는 안내 문자에는 URL이 포함되지 않는다"며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 속 링크를 클릭할 경우, 악성코드 감염을 통한 소액결제 피해는 물론 금융정보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유출된 개인정보는 보이스피싱 등 2차 범죄의 통로로 활용될 수 있어 위험성이 크다.

최근에는 경찰·검찰·금융감독원 직원 등을 사칭해 "계좌가 범죄에 연루됐다"며 피해자에게 호텔 투숙이나 휴대전화 신규 개통을 지시하거나, 대출금 상환 명목으로 제3자 명의 계좌로 입금을 요구하는 수법도 잇따르고 있다. 경찰은 이런 방식은 100% 보이스피싱이라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충남경찰청은 소비쿠폰 지급 기간을 앞두고 지자체, 금융기관 등과 협력해 도민을 대상으로 주요 피싱 범죄 수법을 집중 홍보하고, 피해 발생 시 신속한 수사로 피해 확산을 막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대전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